Dj.Girin NFT Sound Lad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3

음악은 달콤하고 쓴 맛 오늘 먹은 초콜릿이 쓰다. 평촌 학원가에서 초콜릿 라떼를 마셨다. 달콤해 보이는 초콜릿 알갱이가 입 안에서 씹히니 쓰다. 이런 거 있지 않나. 달아 보이지만 씹으니 쓴 것들. 그 중 하나가 음악이다. 처음 재즈를 시작했을 때가 생각난다. 달콤한 동경이었다. 피아노 앞에 앉아 자유롭게 연주하는 모습을 상상하며 가슴 설레던 순간들. 하지만 실제로 맛보니 쓴맛이 강했다. 무대에 설 때마다 찾아오는 불안감, 끝나지 않는 연습과 고민들, 그리고 현실이라는 벽. 그래서 선택한 직장이었다. 안정이라는 달콤함을 찾아서. 음원유통사에 들어가면 음악과도 가까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도 했다. 실제로 그랬다. 매일 새로운 음악을 만나고, 차트의 흐름을 보며 이 바다같은 산업을 배워가는 즐거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것도 쓴맛이.. 2024. 11. 10.
마이크 앞에 선 피아니스트, 인터뷰어가 되기까지 평소 피아노 건반 앞에 앉아있던 내가 이제는 마이크 앞에 앉아 다른 뮤지션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처음 VMR 인터뷰어 제안을 받았을 때가 생각난다. '과연 내가 잘 할 수 있을까?'라는 걱정보다 '아, 이건 꼭 해봐야겠다'는 설렘이 더 컸다.투잡 뮤지션으로서 낮에는 음원유통사에서 차트와 숫자로 보는 음악, 밤에는 재즈클럽에서 연주하는 음악, 그리고 이제는 인터뷰어로서 듣는 음악까지. 음악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선이 생긴 셈이다.처음 진행했던 인터뷰가 아직도 생생하다. 긴장된 목소리로 "안녕하세요, VMR입니다"라고 말했던 순간. 그때는 몰랐다. 이 시작이 내게 얼마나 특별한 경험들을 선물해줄지.인터뷰는 생각보다 훨씬 더 깊은 작업이었다. 단순히 질문을 던지고 답을 듣는 게 아니었다. 매 주마다 새로운 .. 2024. 11. 9.
퇴근 후의 피아니스트: 나의 시간 디자인하기 퇴근 시간, 모니터를 끄면서 시작되는 또 다른 나의 하루. 회사에서는 엑셀과 차트를 보던 손이, 몇 시간 후면 건반 위를 누비고 있을 거다. 오늘은 이 시간의 흐름을 솔직하게 기록해보려 한다. 18:50, 퇴근 준비 모니터 한켠에 띄워둔 악보 PDF를 급하게 닫는다. 점심시간에 몰래 연습했던 프레이즈가 아직도 머릿속에서 맴돈다. 동료들 몰래 책상 위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며 연습했던 걸 아는 사람은 없겠지. 19:00, 드디어 퇴근 서둘러 지하철역으로 향한다. 오늘은 20시 세션 시작이니까 식사는 포기다. 가방에서 에너지바를 꺼내 먹으며 이어폰으로 오늘 연주할 곡들을 다시 한 번 훑어본다. 때로는 귀에 이어폰만 꽂고 있어도 사람들은 음악을 듣고 있다고 생각하니까, 머릿속으로 코드 진행을 복습하기 좋다. 19.. 2024. 11. 8.
재즈와 안정 사이, 내가 선택한 이중생활 퇴근 후 재즈 클럽으로 향하는 지하철에서 회사 노트북을 넣어둔 가방을 무릎에 올려놓았다. 그 안에는 오늘 연주할 악보가 들어있다. 낮에는 음원유통사 직원, 밤에는 재즈 피아니스트. 이렇게 이중생활을 시작한 지도 어느덧 꽤 시간이 흘렀다. "전업 뮤지션의 길은 정말 없었을까?" 학창 시절, 나의 첫 재즈와의 만남은 의외로 리듬게임이었다. Ez2dj의 'Complex'와 팝픈뮤직의 'Ergosphere' 같은 프리재즈 퓨전 스타일의 게임 음악들이 내 귀를 사로잡았다. 재즈라는 장르가 이렇게 자유롭고 매력적일 수 있다니. 그때부터 나는 재즈의 세계에 조금씩 발을 담그기 시작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전공자들 사이에서 느낀 실력 차이, 한정된 공연 기회, 그리고 무엇보다 "과연 내가 재즈 피아니스트로.. 2024. 11. 7.
AI 마스터링 서포터즈 아티스트로 선정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뮤닛(MUNUTE) AI 마스터링 서포터즈 아티스트로 선정되었습니다!반갑습니다! 보이는음악라디오 CEO이자 재즈 피아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Dj.Girin입니다.기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제가 음향기술 스타트업 사운드플랫폼의 AI 마스터링 서비스 '뮤닛(MUNUTE)'의 서포터즈 아티스트로 선정되었습니다!저는 주로 임상진 트리오의 재즈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며 인스트루멘탈 음악을 작업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오존 마스터링을 활용해 작업해왔는데, 이번에 새로운 AI 마스터링 서비스인 뮤닛을 경험하게 되어 매우 기대됩니다.뮤닛은 웹 기반의 AI 마스터링 서비스로, 전문가 영역이었던 마스터링을 누구나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혁신적인 서비스입니다. 특히 일반 마스터링보다 240배 이상 빠른 .. 2024. 11. 7.
현대 음악 제작의 두 가지 핵심 기술: MIDI와 샘플링 음악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혼자서도 오케스트라급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현대 음악 제작의 두 가지 핵심 기술인 MIDI와 샘플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MIDI란 무엇인가?MIDI는 디지털 악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종이 악보처럼 음악 연주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지만,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형식으로 되어 있죠.MIDI가 담고 있는 정보- 음의 높이 (어떤 음을 연주할지)- 음의 길이 (얼마나 오래 연주할지)- 음의 강도 (얼마나 세게 연주할지)- 연주 타이밍 (언제 연주할지)MIDI의 활용1) 실제 연주 녹음- MIDI 키보드나 디지털 피아노를 컴퓨터에 연결- 실제 연주를 .. 2024.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