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Web3, Music, NFT 등)33 Mucon 컨퍼런스 세션 : 북유럽 작곡가들이 Kpop작곡으로 넘어온 이야기 북유럽 작곡가들이 Kpop작곡으로 넘어온 이야기 Q. 어떻게 만나게 되었나요? 뮤직마카나 주관 작곡 캠프를 열었섰음. 프로 작곡가 및 신인 작곡가랑 이야기를 할 기회가 많았음. 송캠프 송X에 초대를 받아서 교류를 시작. 노르웨의랑 한국과의 교류 시작됨. Q. 북유럽 작곡가가 한국과 잘 맞을 수 있었던 점? Kpop은 재작업(수정)을 많이 요구함. 노르웨이 작업가들이 인내심있게 잘 해줌. 멜로디를 강조 음악이 믾아서, 한국과 잘 맞는 측면이었음. 노르딕와 한국 작곡가들과 공통점이 많았음. 유교문화 공경, 배려 등 윤리적인, 문화적인 부분들이 많았음. 40번 이상 재수정도 감당을 해주었다고 ㅋㅋ.. 미국은 수정 절대 안바꾸어준다고 함. 언어 영어로 통하면 협업하는데 도움이 됨. 데모곡도 영어로 작사를 자주 .. 2023. 9. 13. UMG와 Deezer의 협력, 아티스트 중심 스트리밍 모델 소개와 음악 산업 혁신 유니버설 뮤직 그룹(UMG)과 디저(Deezer)는 협력하여 '아티스트 중심' 스트리밍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분석과 개인적인 생각: 1. 전문 아티스트 기준: 한 달에 최소 1,000개의 스트리밍 수와 500명 이상의 유니크 리스너를 확보한 음악가를 전문 아티스트로 분류합니다. => 이는 스포티파이의 광고 기능인 'marquee'의 기준과 유사합니다. 유니크 리스너의 정확한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2. 로열티 혜택: 전문 아티스트에게 더 많은 로열티를 제공합니다. 리스너가 음악과 음악가를 더 활발하게 찾을 때 로열티가 2배로 적용되며, 특정 아티스트 이름을 검색하면 4배로 적용됩니다. => 이는 아티스트들이 브랜딩과 자신의 이름을 더욱 강화하고 마케팅을 진행해야 할 이유를 강조합니다... 2023. 9. 12. AI로 음악 생성 및 보컬 커버 작업의 혁신적인 트렌드 AI로 음악을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또한, 옥냥이 커버 32강이 유행을 하고 있죠. 이 남자는 노래를 전공하지 않는 게 국가의 손실이다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돌고돌아 톤(사람) & 리듬(AI) 🧵 시작합니다👇 트랙메이킹을 Soundful 을 장르적인 요소를 먼저 뽑고 로직을 통해서 부족한 악기의 깊이감을 더블링을 통해 녹음하면서 음악을 완성해나가고 있습니다. @VMRadiopage 콜라보레이션 음악을 그렇게 작업을 하고 있죠. 작업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집니다. 카피곡 보다 자작곡을 쓰는 게 더 빨라요. 이런 샘플을 AI로 생성을 해서 제공을 해주는 것의 편리함은 스플라이스처럼 오픈된 공간에서 샘플을 찾는 수고를 덜어도 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스플라이스보다 가격이 아직 저렴해요. 점점 .. 2023. 8. 14. 이전 1 ··· 3 4 5 6 다음